유튜버 회사원 b의 채널을 보다 30일동안 패키지로 화장품을 선물해주는 물건을 발견했다.
30일 패키지만 생각했을 때 가격이 비싸기는 했지만 하나하나 상품을 따져보았을 때는 비싼 가격은 아니었다.
하나로만 보았을 때는 큰 사이즈이지만 30개의 화장품을 넣으려면 하나의 화장품이 샘플정도로 작아야 한다.
유튜버 회사원 b는 화장품을 꺼내며 말한 것이 나에게 큰 깨달음을 주었다.
"여기 초반에 나온 것들은 신상품 혹은 잘 팔리지 않는 제품이기때문에 한 번 써보라고 넣어주었네요."
우리는 신상품을 좋아하지만 혹시나 나에게 맞지 않을까, 별로일까하는 걱정때문에 구매하려고 하지 않는다.
하지만 샘플로 인해서 물건을 접하고 좋다는 인식이 생긴다면 사람들은 해당 매장에 방문했을 때 같은 제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높다.
나만 하더라도 에뛰드하우스의 시카제품을 샘플로 받았고, 여드름을 없애주는 결과가 생기자 에뛰드하우스 매장이 보였을 때 해당 제품을 구매한 경험을 보았을 때 30일 패키지에 들어가는 화장품들중에서 신상품이 들어가면 좋은 효과를 가져올 거 같다.
소울도 같은 효과를 보고 싶어서 앞에 짧은 애니메이션을 넣은거같다.
어쩌면 소비자에게는 짧은 애니메이션이지만 개발자에게는 사람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소중한 기회이고, 자신의 경력, 경험을 쌓을 수 있을뿐만 아니라 해당 애니메이션 그림체가 다시 나와도 거부감이 들지 않기위해서 넣은 거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소울의 그림체는 매우 독특하다. 하지만 짧은 애니메이션의 그림체는 대중적이다.
소울의 그림체를 바로 보면 거부감이 들 수 있으니 짧은 애니메이션의 그림체로 먼저 접한 후 소울의 그림체를 보면 거부감이 들지 않고 바로 볼 수 있을 것 같으니 짧은 애니메이션을 넣은 거 같다.
'마케팅 혹은 기획 > 왜 그랬을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도비빔면은 왜 4가지의 다른 디자인을 출시했을까 (0) | 2024.08.07 |
---|---|
지구젤리가 유행했던 이유 (0) | 2022.01.25 |
왜 '그 해 우리는'이 재미있을까/사람의 감정을 이끌어냈을까 (0) | 2022.01.25 |
왜 포스기 앞 광고는 담배일까 (0) | 2021.03.28 |
편의점 포스기에 걸려있는 물건보다 계산대에 있는 물건이 더 잘 팔릴까? (0) | 2021.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