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마케팅 혹은 기획/질문9 [질문] #9 왜 나는 다른 사람의 생각을 신경쓰는 걸까? 생각은 당연히 내 머리가 아니라 그들의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일인데 -소크라테스 익스프레스 중에서- 나는 고등학생때 다른사람들의 생각들을 엄청 신경썼다. 그래서 사람들이 생각하는 나에 대한 생각, 모습, 소문들에 신경을 많이 썼고, 그로인해서 스트레스도 많이 받았다. 그렇게 열심히 살다보니 '나는 무엇을 좋아하는가', '나는 행복한가'에 대해서 생각해보지 않았고, 그결과 19살때 슬럼프를 겪게 된다. 나는 원래 많은 감정들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이러한 감정들을 어떻게 풀어야할지, 말해야할지 몰랐는데 슬럼프를 겪게되면서 부정의 감정들이 넘쳐흘러 허우적거린다. 나의 어두운 이야기를 친구나 부모님께 말하고 싶었지만 나의 짐을 덜어서 그들에게 주는 거 같아 부담이 되어 말하지 못했다. 나는 다른 사람들의 생각을 신.. 2022. 1. 20. [질문] #8 침대에서 나가야 하나? 침대에서 나가는 것이 건강에도 좋고 수익창출에도 도움이 될지 모르겠지만, 그렇다고 '마땅히' 그래야 하는 것은 아니다. 성가신 '마땅히'가 우리가 겪는 고충의 원인이다. -책 '소크라테스 익스프레스' 중- 책을 읽다가 '침대에서 나가야하나?'라는 질문이 철학적 질문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침대에서 나가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했지만 편안함을 추구하는 사람이라면 침대에서 나가는 것이 절대 당연하지 않다. 내가 생각하기에 침대에서 나가는 행위란 무언가를 결심하고, 행위하는 것을 뜻하며 나에게 주어지는 안위함만을 바라보지 않는다는 것을 말한다. 사람들은 자신의 안위함을 느끼며 이 감정이 영원하기를 바라지만 세상은 그렇지 않다. 하지만 자신의 안위를 지속하기 위해서 다양한 노력들을 하지만 계속해서 지속된다면 안위함를 .. 2022. 1. 19. [질문] #7 기업 경영 측면에서 현재 가장 수익이 좋은 BM만 추구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좋은 전략이 될 수 있느냐 처음 BM은 기업이 게임을 만드는데 좋은 거름이 될 것이다. 그리고 BM은 기업의 성장을 돋는데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계속 BM만 추구하게 된다면 그것은 사람들이 게임을 하기위해서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캐릭터의 순위나 아이템에 집착하는 것일것이다. 예를 들어 메이플을 보더라도 (게임을 잘 하지않는 플레이어가 그나마 아는 게임) 어렸을 때에는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 혹은 현식에서 도피하기위해서 진행했다면 어른이 된 지금은 캐쉬를 벌기위해서 혹은 자신의 마음에 들기위해서 진행한다. 그리고 어느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에서 '현실에서 벗어나 힐링을 느끼고 싶어서 게임을 켰지만 결국 현질하는 나를 보고서 현실에서 벗어나지 못했구나라는 실망감을 느꼈다.'라는 말을 보더라도 BM 시스템을 가지고있는 게임이 .. 2022. 1. 12. [질문] #6 소비자의 의견을 반영하는 콘텐츠, 제품이 왜 떠오를까 곰표맥주, 말표흑맥주, 쿠키런빵등 이것들은 모두 소비자들이 관심있어하는 주제들을 다른 제품과 콜라보해서 만든 제품들이다. 뉴트로가 젊은 층들사이에서 인기가 있다는 것을 캐치한 한 회사는 이를 반영하여 곰표와 맥주를 제작했고, 이는 성공적인 결과를 발표했다. 다음 말표흑맥주를 시장에 내놓을 땐 소비자들의 불만이나 부족한 점을 반영하여 제작했고, 이 또한 성공적인 결과를 내놓았다. '펀스토랑'은 연예인들의 팁과 의견들로 구성된 요리들을 밀키트로 제작하여 편의점에 판매되었고, 새로운 제품들을 내놓을 때마다 소비자의 불만이나 욕구를 반영하여 제작하여 날이 갈수록 판매량은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 소비자의 의견을 반영하는 콘텐츠, 제품들이 점차 떠오르고 있는데 이는 왜그럴까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지난 수많은 시간.. 2022. 1. 10. [질문] #5 음주가 회사 내에서 상사와 부하직원간에 더 좋은 인간관계를 만들고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까 내가 주목해야할 점은 멘토링 관계에서 부하직원들이 상사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이다. (상사->멘토 / 부하직원들->멘티) 만약 멘티가 멘토를 닮고 싶은 사람, 자신의 롤모델로 인식할 때 두사람의 관계는 성공적이기때문에 '음주'라는 부가적인 요소가 멘토와 멘티의 관계를 좋게 만드는데 좋은 요소가 될 것이다. 하지만 모든 회사들의 직원들이 자신의 상사를 롤모델로 삼고 있는 것은 아니다. 상사와 부하직원 간의 상하관계를 중요시하는 중국의 유고문화를 고려해 연구했을 때 문화적 전통을 중시하는 멘티들은 멘토의 음주 습관에 대해 관대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는 문화적 전통을 중요시하는 사람들의 경우 '음주'라는 요소가 멘토링관계에서 필수적이고, 관계를 더 든든하게 만든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와 .. 2022. 1. 3. [질문] #4 브랜드 자산이 높은 브랜드 브랜드 자산이 높다고 생각되는 브랜드는 무엇이 있나요 왜 그렇게 생각하나요? 사실 브랜드 자산에 대한 개념이 잡히지 않았기때문에 브랜드 자산이 높다고 생각되는 브랜드가 딱히 생각나지 않았다. 브랜드 자산 :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충성도·소비자가 인식하는 제품의 질, 브랜드 이미지, 기타 독점적 브랜드 자산 등을 통해 구축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해당 문구로 브랜드 자산이라는 것을 보았을 때 애플이나 LG가 생각났다. 애플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 충성도, 소비자가 인식하는 제품의 질은 매우 높다. 애플의 제품이 없었던 나조차도 애플에 대한 인지도는 있었고, 애플을 사용하는 사람들을 보았을 때 노트북, 패드, 휴대폰 등 다양한 전자기기들을 애플을 사용하는 것을 미루어보았을 때 충성도는 매우 높아.. 2021. 3. 26. 이전 1 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