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R(Dong-A Business Review) No.317
항공 산출을 늘릴 방법, 기업과 정부 머리 맞대야
무엇을, 왜 연구했나?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사태가 발생하고 난 뒤 항공사의 운영 대응(항공 네트워크 조정 등)등을 분석해 효율성에 어떠한 영향을 줬는지 조사
자료포락분석
-투입과 산출요소를 설정하고 비교 대상인 의사결정단위들간 상대적 효율성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론
MCDEA
-각 의사결정 단위의 효울성 결과를 더욱 잘 구별할 수 있다는 장점
연구 결과가 어떤 교훈을 주나
필수 항공 네트워크를 구성한 것이나 승객용 항공기를 화물용으로 허가한 등의 사례가 항공사들의 수익 손실을 최소화했다고 평가
공항 시설 사용료인 착륙료, 정류료, 계류장 사용료를 감면하는 방안을 발표
정부와 항공사들이 힘을 합쳐 새로운 항공 네트워크를 재정의하는 등 산출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나의 생각
코로나가 발생하면서 공항이 많이 힘들어하고 있다는 소식을 어디든 가면 들을 수 있다. 물론 모든 산업이 힘들지만 많이 힘든 곳은 공항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한다. 해외여행이 유행하고, 사람들이 황금연휴를 통해서 여행을 많이 가게 되면서 공항은 황금기를 맞이하는 듯하였다. 하지만 코로나가 전염병으로 되면서 사람들은 해외로 나가지 못하고, 국내에서만 만족해야했다. 물론 우리나라는 제주도, 부산 등 먼 곳으로는 비행기를 이용하고, 비행기를 화물용 비행기로 변경하면서 위험을 극복하고 있으나 잡지에서 나오듯이 작은 비행기들은 화물용으로 이용하지 못하기때문에 앞으로 두고봐야할 듯 하다.
만약에 나라면
만약에 나라면 큰 비행기가 아닌 작은 비행기를 가지고 마케팅을 이용한다면 기차여행처럼 비행기여행을 만들어서 하루만에 여행을 할 수 있게 만들 것이다. 사람들이 해외여행을 가지 못하기때문에 비행기를 타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아 부산을 가도 비행기를 타는 것을 인스타그램을 통해서 많이 볼 수 있다. 이에 기차여행처럼 코스를 정해주어 사람들이 아침에 출발하거나 점심에 출발하여 저녘에 비행기를 타고 돌아올 수 있도록 만들고 싶다. 그리고 지금 당장 부산의 해운대가 보고싶다면 당장 비행기를 예약하여 해운대에서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추천해주어 사람들이 국내여행에서 굳이 비행기를 타야해?라는 생각해서 국내여행은 기차보다 비행기를 타야 더 많이 놀 수 있어라는 생각으로 변환할 수 있게끔 노력할 것이다.
'마케팅 혹은 기획 > 내가 한다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만든다면] #1 박카스 (1) | 2022.01.14 |
---|---|
[내가 질문한다면] #5 가상화된 무대에센 '부캐'가 주역 (0) | 2021.03.28 |
[내가 생각한다면] #4 메타버스 놓치면 후회할 디지털 빅뱅에 올라타라 (0) | 2021.03.26 |
[내가 생각한다면] #2 현실 그너머 '평행 세계'로 메타버스 (0) | 2021.03.23 |
[내가 생각한다면] #1 심리적 사각지대 방치 땐 '재무적 사망지대' 위험 (0) | 2021.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