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주목해야할 점은 멘토링 관계에서 부하직원들이 상사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이다.
(상사->멘토 / 부하직원들->멘티)
만약 멘티가 멘토를 닮고 싶은 사람, 자신의 롤모델로 인식할 때 두사람의 관계는 성공적이기때문에 '음주'라는 부가적인 요소가 멘토와 멘티의 관계를 좋게 만드는데 좋은 요소가 될 것이다.
하지만 모든 회사들의 직원들이 자신의 상사를 롤모델로 삼고 있는 것은 아니다.
상사와 부하직원 간의 상하관계를 중요시하는 중국의 유고문화를 고려해 연구했을 때 문화적 전통을 중시하는 멘티들은 멘토의 음주 습관에 대해 관대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는 문화적 전통을 중요시하는 사람들의 경우 '음주'라는 요소가 멘토링관계에서 필수적이고, 관계를 더 든든하게 만든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와 반대로 위계질서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부하직원들은 상사의 음주 습관과 술자리를 상대적으로 싫어할 것이고, 결국 멘토링의 실패를 가져올 것이라는 사실을 유추했다. 현재 MZ세대들은 위계질서에 많은 영향을 받지않고 있기때문에 코로나시대가 오기 전까지 '음주'에 대해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있고, 코로나시대가 오고 난 후에는 '음주'를 하지않는것에 대해서 기쁨을 느끼고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가끔은 멘토링관계에서 '음주'라는 요소가 가져오는 끈끈함, 추억들이 좋은 결과로도 가져왔기때문에 MZ세대들은 너그러운 '음주'를 그리워 하고 있다.
이를 보았을 때 멘티가 '음주' 혹은 '멘토'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냐에 따라서 더 좋은 인간관계를 만드느냐, 더 나쁜 인간관계를 만드느냐로 갈릴 것이다.
'마케팅 혹은 기획 > 질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문] #7 기업 경영 측면에서 현재 가장 수익이 좋은 BM만 추구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좋은 전략이 될 수 있느냐 (0) | 2022.01.12 |
---|---|
[질문] #6 소비자의 의견을 반영하는 콘텐츠, 제품이 왜 떠오를까 (0) | 2022.01.10 |
[질문] #4 브랜드 자산이 높은 브랜드 (0) | 2021.03.26 |
[질문] #3 포지셔닝이 잘 된 브랜드 (0) | 2021.03.25 |
[질문]#2 광고가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0) | 2021.03.19 |